1. Synopsis
RubyMotion의 디버거는 LLDB (LLVM Debugger)를 기초로 합니다.
LLDB는 보통 C기반 언어들의 디버그 프로그램입니다만, RubyMotion은 LLDB에 RubyMotion프로세스를 연결하고 살펴보기 위해 루비를 지원하도록 했습니다.
지금의 LLDB지원은 실험적이고 꽤나 저레벨입니다. 개발진의 목표는 루비 개발자들에게 좀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도록 좀 더 우호적이고 고레벨인 디버거를 만드는 것입니다. |
이 문서는 LLDB로 RubyMotion 앱을 디버깅하기위한 주요 기능들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이 문서는 LLDB의 전채 매뉴얼이 아닙니다. 추가적인 가이드가 필요할 경우 LLDB 공식 문서 를 읽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Debugging symbols
RubyMotion 컴파일러는 루비언어를 위한 DWARF 포멧 메타데이터로 구현 되었습니다. DWARF는 디버거나 프로파일러같은 것으로 RubyMotion 어플리케이션의 소스레벨 정보를 검색할수 있습니다.
메타데이터는 프로젝트의 build 디렉토리안의 .app 묶음과 같은레벨의 '.dSYM'묶음에 저장됩니다.
development 와 release 양쪽 다 디버깅 심볼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release 에서는 컴파일 최적화가 이루어져 development 모드가 더 나은 디버깅을 제공합니다. 예를들어, release 모드에서는, CPU 레지스터에 최적화되기 때문에 디버거가 지역변수에 접근할 수 없을겁니다.
3. Starting the debugger
디버거를 시작하기위해서, 적당한 rake 대상에 debug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simulator rake 테스크에 디버그를 하면, 디버거는 대화형 셸(REPL) 대신 어플리케이션에 직접 붙습니다.
$ rake simulator debug=1
device rake 테스크에 디버그를 하면, 빌드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을 디바이스에 배포한다음 iOS 디버깅 서버를 시작하여 디버거 셸을 원격으로 붙입니다.
$ rake device debug=1
3.1. Entering commands before starting
기본설정에선 어플리케이션은 디버거가 시작한 직후에 실행됩니다. 가끔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되기전에 명령어를 시작하고 싶을 경우가 있을 것 입니다.
no_continue 옵션에 아무값이나 주면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no_continue 옵션이 설정되면, 디버거는 어플리케이션을 계속하지 않고 디버그 환경을 변경(예를들어, 프레이크포인트의 지정등)을 할 수 있게합니다. 진행할 준비가 되었다면 continue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rake debug=1 no_continue=1 [...] (lldb) breakpoint set --file hello_view.rb --line 10 Breakpoint 3: no locations (pending). WARNING: Unable to resolve breakpoint to any actual locations. (lldb) c Process 87523 resuming [...]
3.2. Saving commands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때 자동으로 디스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디버거는 프로젝트 루트 디랙토리의 debugger_cmds 파일을 확인합니다. 파일이 있다면, 파일의 내용은 개행 문자로 구분된 디버거 명령어의 목록으로써 해석됩니다.
풀패스가 아닌 파일이름만 사용하세요.(hello_view.rb:10 입니다. app/hello_view.rb:10 가 아니라)
$ echo "breakpoint set --file hello_view.rb --line 10" > debugger_cmds $ rake debug=1 [...]
4. Managing breakpoints
소스코드의 특정위치를 브레이크 포인트로 지정하려면, breakpoint 명령어에 디버거가 멈출 위치를 --line 옵션으로 넘기세요.
예를들면, 밑의 명령어는 hello_view.rb 의 10번째 줄을 브레이크 포인트로 설정합니다.
(lldb) breakpoint set --file hello_view.rb --line 10
breakpoint list 명령어로 현재 디버그 환경의 브레이크 포인트들의 목록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lldb) breakpoint list Current breakpoints: 1: name = 'rb_exc_raise', locations = 1, resolved = 1 1.1: where = Hello`rb_exc_raise, address = 0x00049d70, resolved, hit count = 0 2: name = 'malloc_error_break', locations = 1, resolved = 1 2.1: where = libsystem_malloc.dylib`malloc_error_break, address = 0x030b47f9, resolved, hit count = 0 3: file = 'hello_view.rb', line = 10, locations = 1, resolved = 1 3.1: where = Hello`rb_scope__drawRect:__ + 1034 at hello_view.rb:10, address = 0x0000964a, resolved, hit count = 1
보시는 것 처럼 hello_view.rb:10 브레이크 포인트가 있고 활성상태인것을 알 수 있습니다. breakpoint enable 과 breakpoint disable 명령어는 숫자를 사용해 브레이크 포인트를 각기 활성 / 비활성 상태로 만듭니다.
위의 브레이크 포인트는 목록에서 3번이므로, 이렇게 비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lldb) breakpoint disable 3 1 breakpoints disabled.
5. Getting the backtrace
브레이크 포인트에 도달하면, 주로 메소드가 어디에서 불려 졌는지 확인하기위해 실행 백트레이스를 확인합니다.
이 일은 thread backtrace 명령어를 사용하여 할 수 있습니다.
(lldb) thread backtrace * thread #1: tid = 0x36e013, 0x0000964a Hello`rb_scope__drawRect:__(self=0x08fa34d0, rect=0x08f8d8a0) + 1034 at hello_view.rb:10, queue = 'com.apple.main-thread, stop reason = breakpoint 3.1 frame #0: 0x0000964a Hello`rb_scope__drawRect:__(self=0x08fa34d0, rect=0x08f8d8a0) + 1034 at hello_view.rb:10 frame #1: 0x00009d77 Hello`__unnamed_9 + 231 frame #2: 0x0065be43 UIKit`-[UIView(CALayerDelegate) drawLayer:inContext:] + 504 frame #3: 0x024bb800 QuartzCore`+[CATransaction flush] + 52 frame #4: 0x005eed70 UIKit`_UIApplicationHandleEvent + 683 frame #5: 0x03add6e1 GraphicsServices`PurpleEventCallback + 46 frame #6: 0x01da8ffb CoreFoundation`CFRunLoopRunInMode + 123 frame #7: 0x005ec8be UIKit`-[UIApplication _run] + 840 frame #8: 0x005eeabb UIKit`UIApplicationMain + 1225 frame #9: 0x000024cc Hello`main(argc=1, argv=0xbfffec0c) + 156 at main.mm:15
백트레이스 프레임의 소스 코드 부분은 주소가 rb_scope__ 로 시작하고 파일과 줄번호 ( file:line ) 정보가 있는 줄을 보시면 됩니다.
5.1. Frames
백트레이스의 제일 처음 프레임은 브레이크 포인트 위치의 메소드 drawRect: 입니다. 밑의 다른 프레임들은 iOS의 네이티브 콜들이네요. 보시는 것처럼 drawRect: 메소드는 UIView 에 의해 불리어 집니다.
frame 명령어로 백트레이스의 특정 프레임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기본값으로 제일 위의 프레임(#0)으로 바꾸지만, 컨택스트를 살펴보기위해 프레임 #2로 바꾸길 원한다면, 다음 명령어로 할 수 있습니다.
(lldb) frame select 2 frame #2: 0x0065be43 UIKit`-[UIView(CALayerDelegate) drawLayer:inContext:] + 504 UIKit`-[UIView(CALayerDelegate) drawLayer:inContext:] + 504: -> 0x65be43: calll 0x6156b5 ; UIGraphicsPopContext 0x65be48: addl $108, %esp 0x65be4b: popl %esi 0x65be4c: popl %edi
당연히 백트레이스의 Ruby로 정의된 부분으로 들어갈 때 주로 사용됩니다. 아니면 위의 예제 처럼 어셈블리만 보겠죠.
5.2. Threads
thread backtrace 명령어는 현재 쓰레드의 백트레이스만 반환합니다. 멀티쓰레드 프로그램을 다룬다면, 전채 쓰레드의 백트레이스가 필요할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주의 상태를 디버깅 할 경우가 있죠.
다음 명령어는 터미널에서 실행되는 모든 쓰레드의 백트레이스를 출력합니다.
(lldb) thread backtrace all * thread #1: tid = 0x36e013, 0x0000964a Hello`rb_scope__drawRect:__(self=0x08fa34d0, rect=0x08f8d8a0) + 1034 at hello_view.rb:10, queue = 'com.apple.main-thread, stop reason = breakpoint 3.1 frame #0: 0x0000964a Hello`rb_scope__drawRect:__(self=0x08fa34d0, rect=0x08f8d8a0) + 1034 at hello_view.rb:10 frame #1: 0x00009d77 Hello`__unnamed_9 + 231 frame #2: 0x0065be43 UIKit`-[UIView(CALayerDelegate) drawLayer:inContext:] + 504 frame #3: 0x024bb800 QuartzCore`+[CATransaction flush] + 52 frame #4: 0x005eed70 UIKit`_UIApplicationHandleEvent + 683 frame #5: 0x03add6e1 GraphicsServices`PurpleEventCallback + 46 frame #6: 0x01da8ffb CoreFoundation`CFRunLoopRunInMode + 123 frame #7: 0x005ec8be UIKit`-[UIApplication _run] + 840 frame #8: 0x005eeabb UIKit`UIApplicationMain + 1225 frame #9: 0x000024cc Hello`main(argc=1, argv=0xbfffec0c) + 156 at main.mm:15 thread #2: tid = 0x36e04e, 0x031bf992 libsystem_kernel.dylib`kevent64 + 10, queue = 'com.apple.libdispatch-manager frame #0: 0x031bf992 libsystem_kernel.dylib`kevent64 + 10 frame #1: 0x02de018e libdispatch.dylib`_dispatch_mgr_invoke + 238 frame #2: 0x02ddfeca libdispatch.dylib`_dispatch_mgr_thread + 60 thread #3: tid = 0x36e04f, 0x031bf046 libsystem_kernel.dylib`__workq_kernreturn + 10 frame #0: 0x031bf046 libsystem_kernel.dylib`__workq_kernreturn + 10 frame #1: 0x03182dcf libsystem_pthread.dylib`_pthread_wqthread + 372 thread #4: tid = 0x36e050, 0x031bdd2e libsystem_kernel.dylib`accept$UNIX2003 + 10 frame #0: 0x031bdd2e libsystem_kernel.dylib`accept$UNIX2003 + 10 frame #1: 0x001397b6 Hello`-[RMREPL start] + 134 frame #2: 0x015567a7 Foundation`-[NSThread main] + 76 frame #3: 0x01556706 Foundation`__NSThread__main__ + 1275 frame #4: 0x031815fb libsystem_pthread.dylib`_pthread_body + 144 frame #5: 0x03181485 libsystem_pthread.dylib`_pthread_start + 130
디버거에서 프레임 전환과 같은 방식으로, thread select 명령어를 사용해 쓰레드를 전환 할수 있습니다. 실행된 다른 쓰레드에서 사용되는 루비 메소드를 살펴보려 할때 유용하겠죠. 다음 명령어는 디버거 프롬프트를 쓰레드 #4로 이동합니다.
(lldb) thread select 4 * thread #4: tid = 0x36e050, 0x031bdd2e libsystem_kernel.dylib`accept$UNIX2003 + 10 frame #0: 0x031bdd2e libsystem_kernel.dylib`accept$UNIX2003 + 10 libsystem_kernel.dylib`accept$UNIX2003 + 10: -> 0x31bdd2e: jae 0x31bdd3e ; accept$UNIX2003 + 26 0x31bdd30: calll 0x31bdd35 ; accept$UNIX2003 + 17 0x31bdd35: popl %edx 0x31bdd36: movl 29423(%edx), %edx
6. Inspecting objects
백트레이스를 확인한 후, 객체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 입니다. 디버거는 특별한 커맨드를 사용해 객체를 출력해 줍니다.
6.1. Local variables
방금 브레이크 포인트의 drawRect:(rect) 메소드 선언부에 도달했습니다. 브레이크 포인트에서 보시는것 처럼, 두 인자 self 와 rect 를 받는 펑션의 안에 있죠. rect 는 누가 봐도 CGRect 형의 인자입니다. self 는 무엇일까요?
RubyMotion에서 self 인자는 메소드의 수신자를 참조하는 루비로 노출된 객체의 포인터입니다. 디버거에서, self 는 메소드의 첫번째 인자로 보입니다.
print-ruby-object 명령어를 이용해 self 와 rect 의 값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 RubyMotion에서 정의된 명령어는 해당 객채에 inspect 메소드를 호출해 그 결과를 돌려줍니다. 이 명령어는 편의를 위해 단축명령 pro 로도 부를 수 있습니다.
frame #0: 0x0000964a Hello`rb_scope__drawRect:__(self=0x08fa34d0, rect=0x08f8d8a0) + 1034 at hello_view.rb:10 7 end 8 text = "ZOMG!" 9 else -> 10 bgcolor = UIColor.blackColor 11 text = @touches ? "Touched #{@touches} times!" : "Hello RubyMotion!" 12 end 13 (lldb) print-ruby-object self #<HelloView:0x8fa34d0> (lldb) pro rect #<CGRect origin=#<CGPoint x=0.0 y=0.0> size=#<CGSize width=320.0 height=568.0>>
지역변수의 목록은 info locals 명령어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목록에는 지역변수의 어드레스 정보도 나옵니다.
(lldb) frame variable (void *) self = 0x08fa34d0 (void *) rect = 0x08f8d8a0 (void *) bgcolor = 0x08f931c0 (void *) red = 0x00000004 (void *) green = 0x00000004 (void *) blue = 0x00000004 (void *) text = 0x09c55230 (void *) font = 0x00000004
지역 변수들은 pro 명령어를 이용해 각각 살펴 볼 수 있습니다.
(lldb) pro bgcolor #<UICachedDeviceWhiteColor:0x8f931c0> (lldb) pro text "Hello RubyMotion!" (lldb) pro font nil
6.2. Instance variables
오브젝트의 인스턴스 변수는 print-ruby-ivar 나 단축명령 pri 명령어를 이용해 출력 할 수 있습니다.
인자를 두개 넘긴다면, 첫번째 인자는 인스턴스 변수를 찾을 객체가 되고, 두번째 인자는 찾으려는 인스턴스 변수를 나타내는 스트링이 됩니다. 이름에 @ 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lldb) pri self "@touches" 2
인자를 하나만 사용해 부른다면, 명령어는 self 에서 주어진 인스턴스 변수를 찾습니다.
(lldb) pri "@touches" 2
7. Control flow
next 명령어는 다음 소스레벨 위치가 나올때까지 진행하게 합니다. 이 다음 위치는 보통 루비 소스코드의 바로 밑 줄입니다. 이 말은 디버거가 아직 현제 라인을 실행 하지 않았다는 말입니다. 값을 확인할 때 이점에 주의 하세요.
* thread #1: tid = 0x3702a0, 0x0000964a Hello`rb_scope__drawRect:__(self=0x08ed1600, rect=0x08d91620) + 1034 at hello_view.rb:10, queue = 'com.apple.main-thread, stop reason = breakpoint 3.1 frame #0: 0x0000964a Hello`rb_scope__drawRect:__(self=0x08ed1600, rect=0x08d91620) + 1034 at hello_view.rb:10 7 end 8 text = "ZOMG!" 9 else -> 10 bgcolor = UIColor.blackColor 11 text = @touches ? "Touched #{@touches} times!" : "Hello RubyMotion!" 12 end 13 (lldb) next Process 87162 stopped * thread #1: tid = 0x3702a0, 0x000096c9 Hello`rb_scope__drawRect:__(self=0x08ed1600, rect=0x08d91620) + 1161 at hello_view.rb:11, queue = 'com.apple.main-thread, stop reason = step over frame #0: 0x000096c9 Hello`rb_scope__drawRect:__(self=0x08ed1600, rect=0x08d91620) + 1161 at hello_view.rb:11 8 text = "ZOMG!" 9 else 10 bgcolor = UIColor.blackColor -> 11 text = @touches ? "Touched #{@touches} times!" : "Hello RubyMotion!" 12 end 13 14 bgcolor.set
continue 명령어는 브레이크 포인트가 나올때까지 실행을 진행합니다.
(lldb) continue Process 87162 resuming
프로그램이 실행될때, 언제든 키보드 단축키 control+c (^C) 로 실행을 멈추고 디버거 프롬프트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C Process 87162 stopped [...] (lldb)
디버거를 종료하려면, quit 명령어를 입력하고 y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 명령어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셸 프롬프트를 돌려줍니다.
(lldb) quit Quitting LLDB will detach from one or more processes. Do you really want to proceed: [Y/n] y $